안녕하세요
오늘은 무대디자이너에 대해서 다루어보는 시간을 가져볼까 합니다.
우리가 인생이란 무대 위에 선 배우라면
누구나 주인공의 삶을 살고 싶어 하죠
하지만 화려한 조명 아래에서 많은 사람들의
주목을 받지만 정작 자신이 그저 짜인 각본에
맞추어서 연극의 한 부분을 담당할뿐입니다.
그리고 그 관객 앞에 나서지는 않지만 자기 생각을
현실 속에서 보여줄 수있는 디자이너의 삶이 있죠
무대를 올리는데는 연출, 배우 뿐만 아니라
각 분야의 디자이너 (세트, 조명, 의상, 음악, 분장 등),
공연형장을 관리하는 오퍼(음향, 조명, 무대 등),
세트제작팀 등 많은 인력과의 협업이 필요합니다
이 모두가 무대를 만드는 사람들이라고 볼 수 있으며
그 중 무대디자이너에 대해서 소개하겠습니다.
[ 무대디자인 ]
공연을 보러 갔을 때 마주하는 공감각적 공간,
배우의 첫 연기와 무용수의 첫 움직임과
성악가의 첫 노래가 시작되기 전 관객이
가장 먼저 초대받는 공간은 바로 무대입니다.
그 공연장의 문을 열고 들어가는 순간,
처음 만나는 세계의 낯선 시민이되죠
그만큼 사람들의 시선에 따라 작품 전체를
대변하는 상징성을 드러내기도 합니다.
잘 만든 무대는 배우의 연기를 그만큼
돋보이게 하고, 관객의 몰입을 돕기 때문에
이런 무대를 제작하는 업무를 하며,
공연 연출에 있어서 시각적인 부분을
총괄하는 사람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무대 배경이 등장인물에 맞게 그 인물의 성격과
상황적 부분이 묻어있는 인테리어를 하는 게 중요해요
이런 무대 위 구성요소들은 인물들의
관계나 상황, 특징 등 모든 것을 설명합니다.
이런 소품, 무대세트 등은 자연스럽게 배치
하는게 중요하기에 극 중 인물이 정말로
실제 사용한 것처럼 보여줘야 합니다.
디자이너가 한 작품의 무대디자인을
완성하기까지가 보통 3-6개월 내외로
기간적으로 꽤 오래 걸립니다.
작품이 들어오면 대본을 철저하게 분석해야
하는데 대본에는 다양한 '리서치요소'가 있습니다.
[ 필요한 기술력과 공부방법 ]
모든 인테리어 부분은
실내건축디자인의 과정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기초적인 수작업으로 스케치 / 제도부터 시작하여
컴퓨터 그래픽작업으로 캐드(CAD) / 3DMAX / 스케치업
을 공부를 해주셔야 합니다.
그에 맞게 추가적으로 포토샵과 일러스트를 배워주시면 되구요
뮤지컬 <레베카> 스케치 구상과 실사
그 외에 필요한 기술력은 디자인 외에도
주의할점들이 분명히 있습니다.
1. 의사소통 능력
디자인 분야는 아무래도 가장 중요한 부분은
실무적인 능력이기에 그림을 잘 그리고,
디자인을 잘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그렇지만 어느 분야든 제일 중요한 부분이
커뮤니케이션 능력인데 고객을 설득할 때나
함께 일하는 동료들과의 의사소통 부분으로
커뮤니케이션을 잘 해줘야 합니다.
2. 공간지각능력
인테리어디자인 분야는 공간에 대한
감각이 정말정말 중요합니다.
시각적으로 보여지는 부분을 위해
안목을 높여줘야 하는데 매 해마다
트렌드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유행에 맞게 새로운 시도를 해야 하는데요
이 부분을 쉽게 말하자면 "관찰력"이죠
3. 새로운 것을 시도해보자
디자이너는 계속 새로운 걸 만들어내야 하는 직업입니다.
계속해서 만든 것이 오늘보다 더 나아야
하고 새로워야 하는 의무가 있습니다.
창의적인 부분으로 계속 새로운 걸 만들어내기도 합니다
다시 말해 내 디자인을 남들이 내 의도대로
만들게끔 하는 역할도 해줘야 하는 거죠
무대디자이너는 연극이나 영화,뮤지컬 등
공간을 다루는 그리고 그 공간을 필요로
하는 부분에 있어서 모든 다 할 수 있습니다
이벤트도 할 수 있으며, 인테리어디자인도 할 수 있죠
그래서 영역을 정확히 구분해서 무대디자인은
다른 분야에 비해서 조금 더 영역이 넓다고
볼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하게 가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 스펙 조건 ]
아무래도 자격증은 "무대 디자인"만 본다면
명시되어 있는 자격증이 따로 있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다들 무대디자인 이 한 가지
분야로만 바라보고 계실 건 아니겠죠?
디자인 직업은 여러 분야로 폭 넓게 보셔야 합니다
연출자가 의뢰를 하면 그 프로그램에 맞는 세트를
디자인하는 일이 기본적인 일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요즘엔 조금 더 영역이 넓어져서 세트 외에
시설물 안에 있는 공간을 디자인 한다거나
실내 내부 인테리어를 하는 역할도 하고 있죠
그래서 보통 대부분 사람들이
인테리어디자인분야의 자격증을 취득하고 있습니다
취업에 큰 도움을 주며 스펙업을
할 수 있는 자격증은 두 가지가 있는데
1. 실내건축자격증
보통 무대를 구상할 때 스케치를 하게 되는데
이 때 필요한 자격증이 실내건축자격증입니다
기능사 / 산업기사 / 기사로 자격요건이 있으므로
꼭 실내건축/ 인테리어디자인의 전공이아니더라도
경역학 전공도 관련 전공으로 인정이 됩니다.
그래서 보통 고졸이나 비전공자는 학점은행제를
이용하여 경역학 전공 학위를 준비해서 기사 자격증을 취득합니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아래글에 자세히 나와있으니 참고해주시면 됩니다
<실내건축자격증>
실내건축기능사 필기 실기 공부방법 알고 준비 하자
오늘은 실내건축기능사 자격증에 대해서 얘기해볼까 합니다. 인테리어 디자이너가 되고 싶다면 이제 본인이 갖춰야 할 조건 중에 한 가지가 바로 "자격증"이죠 인테리어디자인 분야에 관
dream1n-terior.tistory.com
2. 전산응용건축제도기능사
캐드를 활용하여 취득하는 자격증으로
실내건축자격증과 다르게 기능사
하나로 자격요건이 없습니다.
국가에서 인정해주는 국가기술 자격증이며
인테리어 일반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며
그래픽으로 여러가지 창작물의 바탕이 되는
도면을 작성할 수 있는 실검증 자격증입니다.
<전산응용건축제도기능사>
전산응용건축제도기능사 필기 실기 준비방법 알고 공부 하자
요즘 인테리어 디자인을 배우시는 분들이나 건출설계 분야로 준비하고 있는 많은 분들이 자격증 취득을 준비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그 중에서도 전산응용건축제도기능사를 해드리려고 합니다.
dream1n-terior.tistory.com
무대디자인과
중앙대, 상명대 , 서경대, 서경대, 한국예술종합대학, 백제예술대학 등이 있으며
이런 진학 부분에 대해서 자세하게 궁금하시다면 아래 명함으로 문의주시면 됩니다 ★
비슷한 학과로는 실내디자인,
건축디자인 정도가 있으며,
보통 비슷한 과정들을 배우므로
무대 디자이너가 되고 싶은 학생들은
굳이 무대에 관련된 학과가 아니더라도
실내디자인계열 진학을 생각하시면 됩니다.
무대디자이너가 되고 싶다
무대디자인을 배우고 싶다
하시는 분들은
1:1맞춤컨설팅을 통해
본인의 공부방법, 방향성에 맞춰
맞춤상담을 도와드리고 있으니
망설이지 말고 가볍게 문의주세요
[ 빠른상담 신청 ]
현재 1:1 상담을 진행하고 있어요
이 분야로 도전하고 싶으신분들은
망설이지 마시고 [ 빠른상담 신청 ]을
클릭해주세요.
'인테리어 [ INTERIOR ] > 진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간디자이너 공부방법과 취업준비를 알아보자 (0) | 2020.12.17 |
---|
댓글